로봇이 손님 안내·서빙에 요리까지…"일 잘하는 막내 직원이 왔다"

입력 2022-07-15 17:46   수정 2022-07-25 15:51


“실례합니다. 고객님. 다 쓰신 접시는 이곳에 넣어주세요.”

15일 찾은 서울 양천구 뷔페 레스토랑 ‘빕스’ 목동41타워점. 손님이 테이블에서 벨을 누르면 로봇이 찾아와 이렇게 인사한다. 키 1m가량의 로봇에 설치된 바구니에 접시와 컵 등을 올려놓으면 로봇은 퇴식 처리를 한다. 성나영 빕스 목동41타워점 매니저는 “로봇 도입 이후 매장 직원들의 업무 피로도가 크게 낮아졌다”며 “힘이 세고 지치지 않는 막내 직원이 들어온 기분”이라고 했다.
뜨거운 쌀국수 만드는 로봇
빕스 목동41타워점은 운영사인 CJ푸드빌이 가장 적극적으로 로봇을 도입한 매장이다. 총 다섯 대의 로봇이 있다. 네 대는 손님 안내와 서빙, 퇴식을 담당하고 한 대는 쌀국수와 우동을 조리한다.

이곳은 1110㎡(약 336평) 규모의 초대형 매장이다. 홀에서 근무하는 직원은 스마트 워치에 하루 3만 보가 찍힐 정도로 온종일 바삐 움직여야 했다. 그런데 최근 로봇이 매장에 도입된 뒤 하루 1만5000보로 이동이 절반이나 줄었다.

장시간 서서 뜨거운 열을 맞으며 조리해야 해 직원들이 기피하던 ‘우동·쌀국수 코너’도 로봇이 맡았다. 고객이 재료를 그릇에 담아 조리 공간에 올리면 로봇이 가져가 데친다.

30초 후 로봇은 삶은 재료를 담은 채의 물기를 털어낸 뒤 그릇에 넣고 육수를 부어 1분30초 만에 요리를 완성한다. 로봇이 만든 쌀국수를 먹어 본 김상준 군(9)은 “맛있다”며 엄지를 내밀었다.
직원 안 보이는 극장·점포
영화관은 기계가 사람을 대신한 지 오래다. CJ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등 영화관들은 키오스크를 설치해 표를 구입하도록 한 데 이어 최근 ‘자율 입장 제도’를 도입해 검표 작업을 생략했다.

티켓을 구입하고 영화를 관람한 뒤 극장을 나설 때까지 영화관 직원을 한 명도 마주치지 않는 게 가능할 정도다. 그나마 팝콘, 음료 코너에 가야 직원들을 볼 수 있다.

국내 영화관 점유율 1위(입장권 매출 기준)인 CJ CGV가 전국 영화관에 비치한 키오스크는 2012년 121대에서 2017년 631대, 현재 1114대로 급증했다. 임직원 수는 코로나19 전인 2019년 1분기 6255명에서 올해 1분기 3216명으로 3년 새 반 토막 났다. CJ CGV 관계자는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 국면에서 관람객들이 다시 극장을 찾았을 때 처음엔 다소 낯설어했지만, 이제는 무인화에 익숙해지고 있다”며 “극장은 코로나 이전의 모습으로 돌아가기는 어렵기 때문에 고객의 편의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사람이 아예 없는 커피, 아이스크림 점포도 전국 곳곳에 생겨나고 있다. 다날의 푸드테크 자회사인 비트코퍼레이션의 로봇카페 ‘비트’에는 매장에 상주하는 직원이 한 명도 없다. 키오스크에서 주문과 결제를 하면 로봇이 커피를 만들어 준다. 고객 반응이 좋아 전국에 160곳이나 매장이 생겼다.

SPC의 아이스크림 브랜드인 배스킨라빈스도 무인매장 ‘플로우’를 7곳 운영한다. 인건비가 들지 않으니 오후 10시에 문을 닫는 다른 매장과 달리 24시간 문을 열 수 있다.
서비스 로봇 시대 활짝
이처럼 외식, 영화, 호텔 등 서비스 업종의 무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이유는 일할 사람이 부족한 영향이 크다. 한국외식업중앙회 관계자는 “코로나19 기간 배달업 등으로 빠져나간 인력이 돌아오지 않고 있다”며 “탄력적인 시간 활용을 선호하고 힘든 일을 기피하는 최근 젊은 층의 성향도 외식업 구인난이 심화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구인난의 틈새는 로봇이 성공적으로 메우고 있다. 현저하게 떨어진 비용이 이를 가능하게 했다. 서빙 로봇의 대여 가격은 월 50만~100만원 수준이다.

최저임금 기준 월급 191만4440원(올해 시급 9160원 기준)의 절반 이하다. 최근 우아한형제들이 월 34만원짜리(3년 약정) 로봇까지 내놓으면서 대여 가격이 내려가고 있다.

우호적인 여건이 조성되면서 앞으로 서비스 로봇 시장은 폭발적으로 커질 것이란 예상이 많다. 시장조사기관인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는 전 세계 서비스 로봇 시장이 2019년 310억달러(약 40조5000억원)에서 2024년 1220억달러(약 159조5000억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하정우 베어로보틱스 대표는 “과거에는 제조업이나 홍보용으로만 로봇이 쓰였다면 이제부터는 일상에서 사람을 돕는 로봇이 본격적으로 보급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수정/한경제 기자 agatha77@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